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신 교육학 개론 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1-1

by 머니베이커 2023. 7. 30.

교육은 한마디로 정의 내리기 어렵다. 교육을 세밀하게 분석하기 전 교육이 무엇인가를 대강 혹은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먼저 교육의 어원과 비유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발생하였으며, 교육의 다양한 비유, 즉 주형, 성장, 예술, 성년식, 만남의 비유에 나타나 있는 교육의 다양한 면모를 파악해 보기로 한다. 

 

교육의 어원


1) 교육의 동양적 어원


   교육의 동양적 어원 중 대표적인 것으로 중국과 한국의 교육 어원을 살펴봐야 한다. '교육'이란 단어는 맹자의 [진심장] 상(上)편에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중에서 세 번째 즐거움, 즉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 하는 것에 처음 등장한다.  가르칠 교(敎)는 가르치는 행위에 초점을 둘 때는 " 윗사람이 베풀고 아랫사람은 본받는다"는 의미를 가지며, 가르치는 내용에 초점을 둘 때는 "윗사람이 베푸는 바와 아랫사람이 본받는 바"를 일컫는다. 기를 육(育)은 "자녀를 길러 착하게 만든다." 혹은 "자녀를 착하게 살도록 기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교육은 성숙한 부모나 교사가 미성숙한 자녀나 학생에게 착하게 살도록 모종의 가치 있는 것을 솔선수범하여 가르치고, 자녀나 학생은 그것을 본받고 배우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교육의 한자 어원에는 교사와 아동 사이에 수직적 인간관계가 전제되어 있다.

   우리말에서 교육은 '가르침'이다. '가르침'이라는 말은 '가르치다'라는 말의 명사형이다.  '가르치다'는 '가르다'와 '치다'라는 말의 합성어다. '가르다'는 '말하다' 혹은 '이르다'는 뜻과 무엇을 '가리키다' 혹은 '지시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또는 '나누다' 혹은 '분별하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치다'라는 말은 '유용하고 쓸모 있게 만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결국 '가르침'은 교사가 학생에게 말이나 지시를 통해서 사물이나 현상을 분별할 수 있도록 만드는 수직적 인간관계가 전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2) 교육의 서양적 어원

 

 

     교육의 서양적 어원은 영어와 독일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교육을 뜻하는 영어 단어는 '페다고지(pedagogy)'와 '에듀케이션(education)'이 있다. 페다고지는 그리스어 '파이다고고스(paidagogos)', 즉 귀족의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교육을 담당하는 노예인 '교복'에서 유래된 말이다. 교복은 귀족의 자녀를 학교에 데려다주고 데려오는 일을 하였으며 기본적인 가정교육을 담당하였다. 이것은 미성숙하 아동을 가르치고 양육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에듀케이션'은 라틴어 '에듀카레(educare)'와 '에듀케레(educere)'에서 유래된 말이다. '양육하다'와 '이끌어내다'라는 의미를 가진 두 단어는 상호 대립되는 교육관을 보여준다.
   독일어에도 교육이라는 두 단어 '페다고긱(Padagogik)'과 '에어지홍(Erziehung)'이 있다. '페다고긱'은 영어의 '페다고지'와 동일한 그리스어에서 온 것이고 '에어지홍'은 '밖으로 이끌어 내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즉, 교육의 서양적 어원은 부모나 교사가 자녀나 아동에게 무엇인가를 가르치고 양육하는 일과 아동의 잠재 능력이 잘 발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의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교육의 비유

 


1) 주형의 비유

 

   주형의 비유는 전통적이고 상식적인 교육관을 잘 드러내며 가장 오랫동안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쳤다. 교사는 장인이나 제작자에, 학생은 쇳물이나 진흙과 같은 재료에 해당한다. 주형 비유의 대표적인 형태는 로크의 교육관이나 행동주의 교육관을 들 수 있다. 로크에 의하면, 아동의 마음은 '백지'와 같아서 아동의 경험과 교사의 가르침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2) 성장의 비유

 

   성장의 비유는 식물이 스스로 잘 성장해 나가듯이, 교육도 아동이 가진 잠재 가능성을 자연스럽게 실현해 나가는 과정으로 본다. 아동은 식물에, 교사는 식물을 가꾸는 정원사에, 교육의 과정은 식물의 성장 과정에 해당한다. 식물이 고유한 특성과 자연법칙에 따라 성장하듯이, 교육도 아동이 가진 특성과 잠재 능력을 발단 단계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현해 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3) 대안적 비유: 예술, 성년식, 만남의 비유

 

    예술의 비유는 예술가와 재료 사이의 관계처럼 교사와 학생의 관계도 일방적이 아닌 상호작용하는 관계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대등하지 않고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주형 비유의 변형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성년식의 비유는 주형의 비유와 성장의 비유가 공통적으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의 관련성을 잘못 파악하고 있는 것에 대한 대안적인 비유이다. 미성년자가 성년식을 거쳐 어른이 되는 것처럼 교육은 학생을 '문명화된 삶의 형식' 즉 인류 문화유산에 입문시키는 일이다. 

   만남의 비유는 앞에 언급된 비유들이 공통적으로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점을 강조하는데 치중한 나머지 단속적이고 비약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을 간과한다. 만남의 비유는 '종교적 만남'이나 '실존적 만남'에서 보듯이, 교육에는 교사가 학생을 만남으로써 갑자기 그리고 비약적으로 변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