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신교육학 개론 교육의 철학적 기초

by 머니베이커 2023. 8. 8.

1. 교육철학의 학문적 성격

플라톤



   철학은 본래 동양과 서양에서 지혜를 사랑하고 그것을 가르치는 일을 본분으로 하였다. 공자는 '인간다운 인간', 소크라테스는 '훌륭한 인간의 삶'이란 무엇을 의미하고 그렇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깊이 탐색했다. 고대 철학은 삶의 의미를 추구하거나 일상적 삶을 지혜롭고 행복하게 사는 문제와 분리되지 않았다. 17세기 이후 근대학문이 등장하면서 철학은 점차 '지혜'의 문제보다는 '지식'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즉 근대적 학문으로서의 철학은 과학적 지식을 가능하게 하는 논리적 조건을 탐구하는 이론적 작업이었다. 

   오늘날의 철학은 진리를 추구하는 이론적인 활동이 아니라 인간의 언어와 현실이 관련을 맺는 방식을  검토하여 이해하고 확장해 나가는 실천적인 사고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철학의 역할은 실천학의 성격이 강한 교육철학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교육철학의 기본적인 성격을 이론적으로 보든 실천적으로 보든 이것이 '철학적'이라는 이유로 공통적으로 갖는 탐구방법적 특징이 있다. 교육적 의미체계들에 대한 '분석적'이고 '평가적'이며 '통합적'인 탐구 활동이라는 점이다. 분석적 활동은 언어의 의미와 그 논리적 관계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다. 단순한 언어의 논리적 분석을 넘어 이것이 전제하거나 반영하는 인간관, 세계관, 사회관과 학교관도 드러낼 수 있다. 평가적 활동은 주어진 기준인 준거에 비추어 실제로 평가하는 활동을 말한다. 평가 기준이나 관점을 세우고 교육체계나 교육현실이 바람직한지 평가하는 것이다. 통합적 활동은 다양한 의미체계를 전체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통합된 체계로 파악하는 것이다. 교육 현상은 다양한 학문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진다. 심리학, 사회학, 역사학, 행정학 등이 교육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활용되며, 교육심리학, 교육사회학, 교육사, 교육행정학 등은 학문적 접근을 다양하게 만들어준다. 

교육철학의 과제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육철학의 핵심 질문인 '교육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즉 교육의 의미와 목적에 대해 계속적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을 해 나가야 한다. 공자나 플라톤의 교육이론이 던지는 고전적 질문을 오늘날 교육적 맥락이나 현실 속에서 재해석하고 더 풍요롭게 만들어 발전시켜야 한다.

  둘째, 교육철학은 교육학의 다양한 하위 학문 분야의 이론적 가정이나 가치들을 계속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즉 각자의 학문적 전문성에 전제된 가정이나 가치에 대한 열린 소통과 비판적 토론에 동등한 자격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셋째, 교육철학자들은 일반 대중의 관심과 요구를 고려한 철학적 글쓰기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정교하고 엄격한 철학적 작업들이 많은 대중에 의해 음미되고 활용될 때 실천학으로서의 교육철학은 제 빛을 발할 수 있다. 

 

2) 교육철학의 방법

   교육철학은 방법론적으로 철학에 기대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철학적 탐구가 철학적 지식과 방법론을 활용해 온 방식으로 교육철학의 탐구방법을 정리할 수 있다. 
   근대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이 학문적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하나의 독립된 근대학문으로서의 교육철학은 1941년 미국 교육철학회가 창립되고, 10년후 교육철학 학술지인 '교육이론'이 발간되면서 시작되었다. 다음은 이 시기 전후를 중심으로 교육철학의 지배적인 방법들이다.

 

(1) 규범적 접근
   한 교육사상가나 교육전통의 포괄적 교육체계를 이해하기 위해 교육관이 함의하는 이상적 사회나 인간관에 비추어 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목적과 가치, 교육방법에 대해 탐구하는 접근방법이다. 즉 규범적 접근은 교육철학적 연구를 공자나 플라톤과 같은 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을 연구하는 '교육관' 연구, 코메니우스나 헤르바르트 등의 교육사상을 연구하는 '교육사상가' 연구, 자연주의나 진보주의 같은 사조의 역사를 연구하는 '교육사상사' 연구 등이다. 

   그러나 근대학문으로서 교육철학은 교육 사상이나 교육관에서 추출해낸 교육이론이 현실의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찾는 데 있다. 

규범적 접근의실례
● 공자의 교육사상
● 헤르바르트의 교육 개념 
● 루소의 교육적 이상으로서 '자연인'의 의미 탐색

(2) 철학적 지식의 확장과 응용
   철학적 이론이나 지식을 교육의 문제를 위해 확장하거나 응용하여 교육이론을 생산하거나 교육의 실천원리를 찾는 접근방법이다. 다양한 철학적 체계인 관념론, 실재론, 실용주의 등으로부터 교육적 이론 체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또는 철학의 하위 분야인 인식론, 윤리학, 정치철학, 논리학 등의 철학적 이론을 교육의 영역에 응용하여 새로운 실천원리를 찾는 것이다. 인식론에서 지식교육의 원리를, 윤리학에서 도덕교육의 원리를, 정치철학에서 교육정의와 교육평등의 원리를, 논리학에서 비판적 사고교육의 원리를 찾는 것이다. 


철학적 지식의 확장과 응용의 실례
● 듀이의 교육관과 반성적 사고
● 롤즈의 사회정의론에 기초한 교육정의의 개념
● 반정초주의 지식관과 교육


(3) 분석적 접근
   2차 세계대전 이후 '일상적 언어철학파'의 분석 철학적 방법에 영향을 받아 형성된 런던 학파의 핵심인물인 피터스(R. S. Peters)에 의해 체계화되었다. 이전의 접근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좀 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학문의 정립을 지향하며 교육에 관한 주요 주장들을 검토하고 정당화하는 일에 관심을 가진다. 엄격하고 합리적인 분석의 절차와 방법을 강조하여 '교육적인 것'과 '교육적이 아닌 것'간의 개념적 구분과 교육적 사고에 있어 오류의 확인, 도덕적 상대주의와 인식론적 환원주의의 근본적인 오류의 지적 등을 통해 내적 체계를 확립하는데 크게 공헌한다. 

분석적 접근의 실례
● '교수'와 '훈육'의 개념적 차이
● 교육의 목적으로서 '합리적 자율성'의 개념 분석
● '이성'과 '교육'의 개념적 관련성

 

(4) 실제적 접근

   1980년대를 지나면서 교육실천의 개선을 위한 실천학으로서 교육철학의 성격을 강조하는 접근법이 힘을 얻기 시작한다. 

   실제적 접근방법은 교육철학자가 의존하는 철학 이론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비판이론, 포스트모더니즘, 신실용주의, 페미니즘, 현상학, 후기 구조주의 등 다양한 사회철학 이론에 기초한 교육 이론과 실제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포괄한다. 즉 교육의 실제를 이해하고 개선시키거나 풍요롭게 하는 교육 이론을 개발하고 활용한다는 관점에서 정의될 수 있다. 

실제적 접근의 실례
● 다문화주의 교육

● 교육과 시장

● 민주적 시민성과 교육
● 종교와 영성을 위한 교육